MIB와 geosmin 유입농도 변화에 따른 생물여과에서의 제거 |
---|
학술지명 대한상하수도학회
저자 채선하,임재림,김성수,이경혁
발표일 2007-04-20
|
TOC 제어를 위한 생물여과(Bilfiltration)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어 왔지만, 맛·냄새 (taste and odor: T&O) 제어를 위한 생물여과의 능력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지표수에 존재하는 미생물 신진대사 부산물인 2-methylisoborneol (MIB)와 geosmin은 T&O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정수처리에서 맛·냄새를 유발하는 대표물질인 MIB와 geosmin의 유입농도 변화에 따라 생물학적으로 활성화된 모래 (biologically active sand; BAS)와 생물학적으로 활성화된 입상활성탄 (biologically activated carbon; BAC)에서의 제거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생물학적으로 비활성탄된 모래여재와 저온에서의 제거특성을 비교 평가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