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조류 발생에 따른 막여과 정수처리 공정의 운전 특성에 관한 연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조류 발생에 따른 막여과 정수처리 공정의 운전 특성에 관한 연구
학술지명 대한상하수도학회 저자 임재림,장해남,이대성,정지현,김충환,박정은
발표일 2007-11-21

국내의 경우 대부분의 상수원수에서 조류가 검출되고 있으며, 연평균 4개월 이상 조류의 발생으로 인하여 정수처리 공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조류 발생시 발생되는 EOM (Extracellular oraganic matter) 혹은 IOM(Intercellular Organic Metal)에 의해 응집제 소비량 증가와 침전저해 및 여과지 폐색 등 정수처리 효율을 저하시키고, 냄새를 유발시켜 활성탄과 염소 소비량을 증가시키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 도입되어 상용화가 진행 중인 막여과 공정에 있어서도 조류에 의한 막오염 및 이에 따른 막차압 상승 등의 영향이 예측되어 이에 대한 효과적인 제어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응집/섬유사여과 - 막여과의 조합공정으로 구성된 파일롯 플랜트를 설치하여 전처리(응집/섬유사여과)설비에 의한 조류의 제거 효과 및 조류의 발생량이 막차압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응집제는 PAHCS를 사용하였으며, 유입원수의 탁도에 따라 응집제 주입량을 변화시켜 실험하였다. 조류의 유입 및 제거효율 측정은 원수 및 전처리 공정을 거친 막공급수 내의 조류밀도를 Sedgwick-Rafter Counting Chamber를 이용한 광학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원수 중 특정 종류의 조류 개체량이 증가할 때 막차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섬유사 여과장치는 선택적 조류에 대한 제거성능을 보였다. 조류 유입시 적정 응집제 투입농도 조절을 통해 막차압이 안정화되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막여과 정수처리 공정의 운영에 있어서 원수 중 조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적절한 응집제 주입량의 제어가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