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Y정수장에서 수질을 고려한 고도정수처리공정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Y정수장에서 수질을 고려한 고도정수처리공정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학술지명 대한환경공학회 저자 이경혁,채선하,김충환,임재림
발표일 2007-10-25

Y정수장은 댐 호소수를 취수원으로 하고 있으며, 시설용량 16,000 ㎥/일 규모로 표준정수처리방식을 갖추고 있다. 또한 맛·냄새에 의한 민원 발생사례가 있고, 소독부산물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다. 기존의 표준정수처리시설은 응집지와 정수지의 개량 및 확장, 여과지의 신규 설치, 별도의 배출수 처리시설의 신설이 필요하고, 전반적인 구조물, 시설물과 설비가 노후화 및 미비로 일부 시설물을 개량하더라도 양질의 수돗물 생산을 위하여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는 상황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정수처리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신규시설을 도입한다는 전제하에 정수 수질목표 달성을 위한 Y정수장에서의 처리대상물질 선정과 이들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최적 정수처리공정을 선정하는 의사결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Y정수장의 원수 및 정수의 수질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처리대상물질은 맛·냄새물질(2-MIB, Geosmin), 망간, 철, 소독부산물 (HAA), 암모니아성 질소, DOC가 검토되었고, 이들 물질의 제거를 위해 처리공정으로 1안 (응집[중염소]-침전-여과-후오존-입상활성탄-후염소)과 2안(전오존-[간헐적 염소처리]-막[세라믹]-입상활성탄-후염소)을 선정하였다. 안정적인 망간 및 암모니아성 질소의 처리를 위해서는 1안이 최적 공정으로 선정 가능하다. 부지의 협소성과 16,000 m3/일의 소규모 시설용량을 감안하여 경제성을 고려할 때, 2안 공정의 선택도 고려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1안과 2안의 최종 공정의 선정에는 몇 가지 추후 검토되어야할 항목들이 있다. 우선 전오존 공정에 의한 망간 성상의 변화와 막여과 공정의 경제성 평가, 무인운전의 가능성이 검토되어야 한다. 향후 의사결정을 통해 결정된 공정에 대해서는 정수장 도입 전에 Pilot Plant의 운영을 통해 공정의 평가와 각 단위공정들의 설계 및 운영인자의 평가가 수반될 것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