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단일 전처리 방법에 의한 할로아세트산, 할로아세토니트릴계 소독부산물의 다항목 동시분석방법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단일 전처리 방법에 의한 할로아세트산, 할로아세토니트릴계 소독부산물의 다항목 동시분석방법
학술지명 한국환경분석학회 저자 백경희,윤병석,최재원,이재희,이상태
발표일 2007-11-22

정수처리시 염소소독은 중요한 소독방법 중에 하나이다. 하지만 Humic 산과 Fulvic 산이 근원이 되는 유기물을 포함하고 있는 지표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염소와의 반응으로 소독부산물(Disinfection byproducts : DBPs)이 발생한다. 
  염소소독부산물 중에는 Chloral hydrate(이하 CH으로 표기), Trihalomethanes(THMs), Haloacetic acids(이하 HAAs으로 표기),  Haloacetonitriles(이하 HANs으로 표기)으로 크게 구분이 되며, 분석방법으로는 Liquid-liquid 추출, Static headspace technique, Dynamic headspace technique(Purge & trap), Solid-phase microextraction technique(van Langenhove, 1999; Kuran & Sojak 1996)의 방법이 있다. 이들 시험법 중에서 HAAs의 9항목과 HANs 및 CH 등의 9항목은 우리나라의 수질오염 공정시험법 및 EPA의 시험법에 따라 MTBE 유기용매를 이용한 liqid-liquid 추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CH 및 HANs등의 여러 소독부산물은 MTBE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을 통해 전처리를 하지만, HAAs의 9개 항목은 휘발성이 적어 GC로의 분석이 어렵기 때문에 강산성에서 MTBE로 추출한 다음 메틸 유도체로 만들어 GC-ECD로 분석을 하도록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HAAs 9가지 항목의 유도체화 전처리 방법에 CH 및 HANs 등의 10가지 항목을 동시에 같은 전처리 방법을 통해 총 19가지 항목에 대한 다항목 동시분석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때, 사용된 내부표준물질은 1-Chloro-2-Bromopropane이며, 이 내부표준물질을 통한 19개 소독부산물은 양호한 직선성을 보였으며 또한, CH의 유도체화 동정을 GC/MS를 통해 확인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