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다성분 동시분석을 위한 고분해능 질량분석계 응용연구 1. 수계의 유기인계 농약-Ⅱ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다성분 동시분석을 위한 고분해능 질량분석계 응용연구 1. 수계의 유기인계 농약-Ⅱ
학술지명 한국환경분석학회 저자 문부식,이재희,김정희,최재원
발표일 2007-11-22

최근 잔류유기오염물질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를 시작으로 농약류에 대한 극미량 분석수단으로서 고분해능 질량분석법 (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HRMS)이 시도되었고, 적절한 내부표준물질의 보급과 함께 극미량 측정에 대한 정량성 및 분석정확도, 정밀도가 향상되는 계기가 제공되었으며 물시료, 생체, 퇴적물에 대한 적용사례가 소개되고 있다. 또한 극미량 소독부산물에 대한 고분해능 질량분석법의 적용사례도 보고되었다. 현재 국내에서 대부분 사용되는 농약은 유기인계(OP)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은 POPs에 비해 잔류성 및 생물농축성은 낮으나, 실질적인 수질사고 원인물질 또는 수계 모니터링의 주요 대상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수계에서의 극미량 분석에 대한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OP계 농약의 수질분석분야에서 ng/L-sub ng/L 범위의 극미량 동시분석이 가능하도록 GC-HRMS 분석조건을 최적화하였다. 특히 선택이온모니터링 (SIM) 에서 각 성분의 최적 정밀질량의 검토와 다성분 동시분석시의 방해이온과 고감도화를 고려하여 시간대별 분석성분의 그룹화를 검토하였고, 적정 질량잠금(lock mass)과  질량교정(calibration mass) 을 설정하였다. 또한 분석장치에 대한 각 성분의 검출한계를 산출하였다. 시료의 전처리는 고상추출방법 (solid phase extraction, SPE)을 사용하여 3종류의 카트리지를 비교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주요 유기인계 농약을 사용빈도 및 검출사례 등을 참고하여 잠정적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여기서는 그룹 Ⅱ인 16개 농약인 carbophenothion, chlorfenvinphos, ethion, ethoprophos, fenamiphos, isazofos, isofenphos, mevinphos, phenthoate, phosmet, phosphamidon, pirimiphos-ethyl, pirimiphos-methyl, profenofos, pyridaphenthion, triazophos을 동시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내부표준물질로는 PAH의 동위원소를 사용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