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저수지 퇴적물의 물리, 화학적 특성 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저수지 퇴적물의 물리, 화학적 특성 분석
학술지명 한국환경분석학회 저자 이요상,최일환
발표일 2007-05-17

다목적 댐은 하천을 막아 형성된 인공호이므로 수체의 흐름이 느릴 뿐 아니라 장기간 물이 체류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 다양한 입자성물질이 퇴적하게 되며 퇴적물은 수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저수지 수저 퇴적물은 2㎛이하의 점토입자가 42~65%를 차지하며, 2~63㎛의 미사질(silt)입자가 35~57%를 차지하는 점토질에 해당한다. 이는 입자크기 > 63㎛의 사질(sand)이 20 ~60%를 차지하는 국내 표층 토양에 비하여 저수지 퇴적물이 매우 미세한 입자로 이루어져 있음을 나타낸다. 퇴적물 간극수의 금속함량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는데 Mn이 2.6~40.6mg/l의 함량을 보였으며, Fe는 1.9~9.9mg/l로 분석되었다. TOC함량은 17.5~33.9mg/l의 범위를 나타냈다.
 퇴적물의 심도별 영양염 농도는 TP가 1.1~2.0mg/g으로 분석되었고, 총인 중 Adsorbed Phosphate의 비율은 2.1~4.0%로 나타났으며 NAI-Phosphate는 12.7~29.4%로 평가되었다. 총질소의 농도는 5.3~11.3mg/g으로 분석되었다.  
 저수지 퇴적물의 Humin성분을 포함한 휴믹물질의 함량은 퇴적물 시료 전체 유기탄소의 약 86~89%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알칼리(0.1 M NaOH) 용해성 유기물 성분 중에서는 HA가 23~45%, FA가 1.2~8.5%로 FA가 H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함량 분포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FA 분자가 분자량이 작고 용해성이 높아 대부분이 퇴적물로부터의 용출되어 수층에 존재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