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다목적댐 저수지의 동절기 물색변동 특성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다목적댐 저수지의 동절기 물색변동 특성
학술지명 한국환경분석학회 저자 최일환,이요상
발표일 2007-05-17

  호소는 수온에 따른 밀도차에 의해 수심이 깊은 지역은 일년중 상당한 기간 동안 수온성층을 형성하게 되며, 여름철 태양열과 대기로부터의 열전달에 의해 수온이 상승한 표층은 안정된 정체하층과는 구분된다. 그러나 가을과 동계에 걸쳐 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상층의 수온이 내려가게 되어 하층의 물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상층의 물이 침강하게 되면서 전도현상이 발생하며, 이럴 경우 저수지수의 색이 어두워지는 경향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조사를 수행하였다.  
 전도현상이 저수지 바닥층까지 미치지 않을 경우에는 상층의 탁도는 상승하지 않으나 바닥층까지 전도현상이 발생하면 수체전체의 탁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1월 6일에는  25 NTU 까지 높아졌으며 그 이후에는 탁도가 서서히 낮아지면서 1월 20일에는 15 NTU까지 낮아졌으며 2월 4일에는 13 NTU까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물색이 검게 나타나는 것은 단순히 탁도의 상승만으로는 설명될수 없으며 퇴적층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Mn과 Fe산화물에 의해 색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입자성 물질에 대하여 Munsell color chart와 비교를 통해 색도를 분석하였으며 7.5YR3/4, 10YR3/N 등 다양한 색도를 나타내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