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중인 철탑의 탑각 누설전류를 이용한 접지저항 측정 방법 |
---|
학술지명 대한전기학회
저자 이인성,이상오,장정호,김현한,주덕윤
발표일 2007-07-19
|
전력설비 및 전원설비가 운전중인 활선상태(전압이 가압된 상태)에서 접지저항의 측정이 어려운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전원이 가압된 상태 즉, 활선상태에서는 어떠한 형태나 원인에 의해서 전류가 대지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전류는 상시 대지전위를 형성하므로 이 대지전위가 기존의 방법으로 접지저항을 측정하는 경우 영향을 미쳐 실제의 접지저항보다 수십배 이상 크게 측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송전철탑의 경우에는 선로의 활선 혹은 사선 상태와 무관하게 전력선의 3상 불평형으로 인한 대지전위가 4곳의 탑각마다 존재하며 전류의 귀로가 접지저항 측정기에서 발생된 경로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가공지선을 통하여 귀로하므로 전류의 통로가 분산되어 정확한 전류의 측정에 따른 접지저항 측정이 될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