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콘크리트 표면차수벽 석괴댐의 지진응답 해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콘크리트 표면차수벽 석괴댐의 지진응답 해석
학술지명 대한토목학회 저자 임은상,김재홍,오병현,홍원표
발표일 2007-10-12

국내 수자원시설물을 비롯한 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을 위해 장주기파인 Hachinohe 지진파와 단주기파인 Ofunato 지진파를 적용하여, 정적 FEM 해석을 실시하여 응력과 가속도에 따른 변위 및 표면차수벽의 안정성을 검토하여 지진응답 해석에 의한 댐체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Hachinohe 지진파를 적용한 경우 지진동 0.154g를 이용하여 지진응답해석을 실시한 결과 X방향으로 최대발생 변위는 22.66㎝(7.74sec)이고, 응답가속도는 댐 상부에서 최대 791gal(7.72sec)이 발생하여 약 5배정도 증폭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Ofunato 지진파를 적용한 경우 X방향으로 최대발생 변위는 18.73㎝(8.08sec)이고, 응답가속도는 댐 상부에서 최대 599.5gal(8.12sec)이 발생하여 약 4배정도 증폭 결과가 나타났다.
   댐의 높이에 따른 수평방향 최대가속도 분포는 댐의 높이에 따라 증가하다가 댐의 중앙부에서 약간 감소한 뒤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단주기파인 Ofunato파가 장주기인 Hachinohe파를 적용하여 해석한 경우에 비하여 가속도 증폭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댐의 높이에 따른 수평방향 최대변위 분포는 댐의 하단부에서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한 변위는 댐의 중앙부에서부터 댐의 천단까지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 결과는 Ofunato파가 Hachinohe파를 적용한 결과에 비하여 댐 천단에서의 최대변위가 줄어든 것으로 응답가속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응답변위값이 감소하였다. 즉, 연구대상 댐의 경우 단주기파인 Ofunato파에 비하여 장주기파인 Hachinohe파가 댐의 가속도 증폭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용어 : Hachinohe파, Ofunato파, 최대응답 가속도, 최대변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