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복합댐의 담수에 따른 거동분석에 관한 연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복합댐의 담수에 따른 거동분석에 관한 연구
학술지명 한국지반공학회 저자 김재홍,홍원표,오병현
발표일 2007-09-07

일반적으로 댐의 형식으로 흔치않은 콘크리트 중력식댐 및 석괴댐의 복합댐 거동의 연구에 대하여 국내는 물론 외국의 참고자료도 희소하여 복합댐의 거동특성을 정확하게 분석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담수로 인한 제체내 및 기초암반에 저수지로부터 침투작용에 의해 제체내의 간극수압이나 양압력이 발생하고, 침투파괴 혹은 전단저항력의 저하 등 댐의 안정을 손상하려는 현상이 일어나고, 제체 파괴의 큰 인자가 될 우려가 있어, 복합댐의 담수전인 시공직후와 담수후인 상시 만수위를 고려하여 담수에 따른 안정성에 대하여 지반해석 범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FIMEX에 내장되어있는 솔버인 SEEPAGE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복합댐의 시공직후 정적F.E.M를 적용한 결과 수평방향 변위는 댐체의 법면부 하단의 1/3지점에서 가장 크게 발생하였고 최대연직방향 침하량은 콘크리트 블럭과 접해있는 코아부의 중앙에서 발생하였다. 담수에 의한 정수압을 고려한 F.E.M해석을 수행한 결과 수평방향 변위의 거의 없으며, 수위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거의 유사하며, 수평방향 변위의 크기는 수위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크게 발생되었다. 
  그리고, 담수에 따른 절점별 변위를 분석한 결과 X방향 변위는 댐을 상류, 중앙, 하류로 나누었을 때, 상류측은 상단에서는 증가하고, 중심부에서 변위범위가 최대가 되며, 하단에서도 변위가 발생하였으나, 중심부보다 감소하였다.
  중앙위치에서는 큰 변위량이 발생하지 않았고, 하류측은 담수후 상단에서는 변위가 감소하였으나, 중심부에서 변위가 크게 발생하였고, 변위범위도 최대가 되었다. 
  담수로 인한 x방향 변위는 중심부에서 상하류 측으로 모두 최대의 변위가 발생하였다. 
  Y방향의 변위는 상하류 높이에 관계없이 미미하게 나타났지만 중앙부 상단에서 담수후 변위가 크게 증가하였다. 담수후에는 Y방향으로는 변위가 미비하였으나, X방향으로는 댐 중간위치에서 변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율도는 전체적으로 안전율이 1.5이상을 확보하고 있으나 코아부분 일부와 경사면 표면의 일부분에서 안전율이 낮은 영역이 나타나고 있고, 사면 안전율은 Bishop계산식이 Tschebotarioff계산식 보다 안전율이 크게 나왔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