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충주댐상류 수리학적 저수지 홍수추적모형 개발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충주댐상류 수리학적 저수지 홍수추적모형 개발
학술지명 대한토목학회 저자 한규하,박명기,박진혁,이을래
발표일 2007-10-12

   2006년 7월 우리나라에는 전국적으로 큰 호우가 발생하여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태풍 및 장마전선에 따른 강우는 지난 73년 관측시작 이래 강우량 중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각 댐마다 적게는 300㎜이상, 많게는 900㎜에 가까운 집중호우가 내려 남한강 여주지역과 한강하류의 범람이 우려되는 국가적인 위기상황에 직면하기도 하였다. 특히, 남한강 유역의 충주댐은 계획홍수위(EL. 145m)를 불과 0.1m를 남겨두면서 충주댐 방류량을 놓고 충북 단양군과 경기도 여주시 등 남한강 상?하류 지자체 간에 치열한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충주댐(저수용량 27억 5천만㎥)은 운영이후 최대인 초당 최대 22,650㎥의 유입홍수량에 대해 40%수준인 최대 9,050㎥/s만을 조절 방류하여, 충주댐유역 하류의 홍수위를 저하시켜 한강 본류의 홍수경감에 크게 기여하였다. 댐의 특성상 홍수기에 방류량과 방류시점을 합리적으로 선택해야 한다. 과다하게 방류량이 설정되면 댐하류지역의 수위상승이 우려되고 댐에서 너무 오랜시간 많은 양을 저류하게 된다면 그 영향이 댐상류 지역에 수위상승의 효과를 미치게 되므로 그 적절한 시점을 선택하는 것은 댐운영에 상당히 어려운 점으로 나타난다.
   댐하류에 비해서 댐상류지역에서 발생하는 침수 등은 댐에서의 저류효과 뿐만 아니라 국지적인 호우에 따른 유출량의 증가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피해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을수 있으나, 물리적 기반을 둔 수리학적 분석모형에 의해서 과거 혹은 미래의 시간별 하천 및 저수지의 흐름현상을 좀 더 과학적으로 분석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이와 같은 상황들을 모의하기 위해서 홍수분석모형에 의해 홍수시 댐으로 유입하는 홍수량의 해석은 가능하지만, 유입홍수에 대한 저수지내의 수위변화양상을 실시간으로 해석?예측할 수 있는 저수지내 홍수추적기술기반이 미흡한 현실이다. 현실적으로 이에 대한 해석을 위해서 실질적으로 부정류흐름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홍수조절 민원이 발생할 경우 댐지점 수위를 기준으로 HEC-RAS에 의한 부등류 배수위영향을 검토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수분석과 연계하여 충주댐상류의 수리학적 저수지 홍수추적기술을 개발하여 과학적인 홍수조절의 기반을 강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