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층 특성이 강변여과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
학술지명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 김재곤,고경석,김형수,구민호,안주성,오인숙,박성민
발표일 2006-04-19
|
강변여과수는 지표수와 하천수를 동시에 사용하는 간접인공함양방식으로 강변에 취수정을 개발하여 하천수를 강변대수충에 통과시켜 취수하는 방식이다. 이는 표류수를 직접 취수하여 정수하는 것 보다 나은 수질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장기적 취수에 의해 강물이 대수층을 통과하면서 침전,흡착,기타 화학작용 및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수질에 변화가 생기는 문제점이있다(장성 등,2004).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낙동강 유역에서 강변여과수가 많이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다. 강변여과수 개발시 가장 큰 문제점은 수질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이다. 수질에 가장 큰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은 철(Fe)와 망간(Mn)수질기준 초과 문제이다. 계적적인 영향을 받는 이들 Fe,Mn 문제는 그러나 아직까지 그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해 뚜렷한 해결책이 제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