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기반 수변구역의 토사유실 영향분석 |
---|
학술지명 대한토목학회
저자 이근상,황의호
발표일 2006-03-31
|
임하호 유역은 지질 및 지형이 토사유실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강우발생시 많은 토사가 호소로 유입되어 고탁수의 원인이 되고있다. 특히 임하호유역의 농경지가 주로 하천주변에 분포하고 있어 강우시 토사유실로 인한 탁수발생시 큰 지역이다. 따라서, 탁수저감을 위한 수변구역의 체계적인 관리와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수변구역에서 발생하는 토사유실량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IS 기반 RUSLE 모형을 선정하여 수변구역에서의 토사유실 비율을 평가한결과 약 12.23퍼센트로서 임하호 전체유역과의 면적비율(9.95퍼센트)보다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변구역 주변의 농경지비율 (27.24퍼센트)이 전체유역에 대한 농경지비율(14.96퍼센트)보다 높은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소유역별 분석결과를 볼 때 수변구역중 대곡천 유역이 가장 높은 토사유실량 분포를 나타냈으며, 반변천_10 그리고 서시천 순서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