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적물로부터 인 용출 저감을 위한 Brucite 처리 |
---|
학술지명 대한환경공학회
저자 최광순,권혁재,김동섭,오영택,김세원
발표일 2006-11-21
|
오염된 퇴적물로부터 인 용출 저감을 위한 최적의 capping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lab-scale 실험을 25L 아크릴 컬럼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퇴적물 내 입도는 8.8 Ф로 매우 세립한 clay로 조성되어 있으며, 유기탄소 함량(Cогg)은 2percent로 높다. Batch실험에 사용된 capping 소재는 Brucite(Mg(OH)₂), Sea sand(SiO₂), Granular-gypsum(CaSO₄ㆍ2H₂O),Double layer(brucite+sand)와 Control을 30일 동안 비교ㆍ평가하였다.실험시간 동안 용출된 인의 flux는 14.6 mgㆍm-²ㆍd-¹, 9.5 mgㆍm-²ㆍd-¹, 5.2 mgㆍm-²ㆍd-¹, 4.2mgㆍm-²ㆍd-¹, 3.1mgㆍm-²ㆍd-¹로 Control - Sea sand - Granular gypsum - Double layer - Brucite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Brucite를 적용한 컬럼의 경우, 인 용출 제어 효율이 70percent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Sea sand를 적용한 경우에는 35percent의 효율만을 보였다. 특히, Brucite를 적용한 컬럼의 표층 퇴적물내 pH는 8.0~9.5로 다소 높게 유지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퇴적물을 약알카리성으로 유지하여 황산염환균이 증식할 수 없는 환경을 조성하여 생물에 독성이 있는 H₂S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Gypsum을 적용할 경우, 퇴적물내 빠른 초기 속성화작용의 진행과 충분한 SO₄²-의 공급으로 methanogenesis 진행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Brucite와 Gypsum을 적용할 경우, 퇴적 물 내 인의 존재형태가 광물(mineral)의 형태인 Mg5(OH)(PO₄)₃, pyrite, apatite-mineral의 형태로 진행되어 퇴적물로부터 인의 용출을 줄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