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북부지역의 하수도 현황 조사 |
---|
학술지명 상하수도학회
저자 김연권,이윤섭,서인석
발표일 2006-01-01
|
베트남은 중국, 인도 등과 함께 성장 잠재력이 풍부하고 빠른 경제개발을 이루고 있는 국가로 2003년 세계은행의 보고서에 따르면 당분간 베트남의 년간 경제성장률은 7퍼센트를 상회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1986부터 1991년까지 베트남은 사회, 경제, 정치적으로 많은 변화를 이루게 되었는데, 특히 복합경제구조(Multi-Sectoral Economic Structure)와 시장기능의 수용은 급격한 경제발전으로 이어졌으며 상대적으로 다양한 환경문제를 유발하게된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베트남의 급속한 경제개발은 잠재적 환경문제의 우려와 적절한 대안마련의 필요성을 강하게 부각시키고 있으나 기존 시설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자료의 부족으로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베트남은 도심지역내 크고 작은 호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홍수시 적절한 치수대책으로 활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수질오염문제의 근원이 되고 있다. 베트남에서의 수질오염문제는 열악한 위생문제와 직결되는 중요한 사안이나 수질오염을 관리하기 위한 하수처리 시스템의 대부분이과거 프랑스 식민지 시절에 건설된 후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현재는 대부분의 그 기능이 상실되어 있는 실정이다. 2002년 WEHAB(Water, Energy, Health, Agriculture and Biodiversity)의 보고서에 따르면, 아시아 지역은 전 인구의 54퍼센트가 정상적인 하수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수시스템의 인구대비 미보급율 또한 농촌을 포함한 비도시 지역(약 69퍼센트)과 도시지역(26퍼센트)의 격차가 심한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는 아시아 지역에서의 하수관리 현황에 대한 현지조사와 적용 가능한 하수관리 지침서를 작성을 통해 아시아 지역의 하수관련 위생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한국 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와 함께 공동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금번 기고문은 UNEP와 공동현지조사의 일환으로 지난 2005년 11월 25일부터 4박 5일간 베트남북부 하노이’와‘하이퐁’지역에서 실시된 현지조사 보고서이다. 지금까지 베트남에 대한 하수도 관련 자료와 기술수준의 평가는 전무한 상태로 금번 보고서를 통해 베트남의 대표도심지역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는 하수도 사업과 수준, 그리고 장래 계획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베트남 사업을 준비 중인 국내 관련 기업들에게 해당지역에 대한 특성 이해와 적정 하수도 시스템 구축을 위한 관련기술의 마련 및 교류방안 수립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