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에서는 2005년도에 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위성영상을 활용한 유역관리기법 연" 과제를 수탁받아 수행하고 있다. 이 과제의 일환으로 일본의 위성영상을 활용한 수자원 및 환경분야의 활용사례 조사를 위해 6월 20일부터 6월 24일까지 일본 토목연구소, 국립환경연구소 그리고 수자원기구 등의 기관들을 방문하여 관련자료수집 및 자문을 얻은 바 있다.이중 일본국립환경연구소의 환경정보센터에서는 저수지 탁수 및 토사유실 등의 수자원관리, 대기오염,황사 및 산림분야 등에 위성영상을 활발히 응용하고 있으며 특히 싱가폴과 중국과의 국제 연구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아시아 태평양 환경혁신전략(APEIS:Asia Pacific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을 추진 운영하고 있다. 아시아 태평양 환경혁신전략
(APEIS)중 특히 통합환경모니터링시스템(IEM:Integrated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은 수자원 및 환경분야에 위성영상 및 GIS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해석하는 핵심연구과제로서, 통합환경모니터링시스템(IEM)에 참가하고 있는 기관으로는 일본국립환경연구소(NIES: National Institutefor Environmental Studies), 싱가폴대학(NUS:National University Singapore), 중국과학원(CAS: Chinese Academy of Science)의 지리과학자원연구소(IGSNRR: Institute for GeographicalScience and National Resources Research), 중국생태시스템연구네트워크(CERN: Chinese Ecosystem Research Network), 중국과학원 新彊지리연구소(XIEG: Xinjian Institute of Ecology and Geography), 중국과학원 아열대농업연구소
(ISA: Institute of Subtropical Agriculture) 그리고 중국과학원 서북고원생물연구소(NPIB:
Northwest Plateau Institute of Biology) 등이있다. 통합환경모니터링시스템(IEM)은 비록 환경이라는 이름으로 추진되고 있지만, 저수지의 수량 및 수질,물순환 그리고 토사유실 등 수자원분야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항목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수자원분야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본다.본 원고에서는 아시아 태평양 환경혁신전략(APEIS)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통합환경모니터링시스템(IEM)의 주요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