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역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통합평가를 통한 Network개념의 수계관리 |
---|
학술지명 한국수자원학회
저자 김우구,강민구
발표일 2005-09-01
|
최근의 유역관리는 과거의 점과 선적인 개념에서 면적인 개념으로 방향이 바뀌고 있으며, 토양과 물, 대기를 연결하는 입체적인 순환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오염총량제의 도입과 수자원의 통합관리를 위해서 점, 선, 면 형태의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적인 유역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통합유역관리의 필요성과 방법, 통합유역관리를 위해 유역의 상태를 평가하고 유역간의 관리 상태를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으며, 대안을 평가할 수 있는 지수개발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수계와 유역은 여러 요소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시스템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평가지수를 개발할 때에 토지, 수자원, 생태, 사회 및 경제와 이를 연결하는 하천의 유황과 수질 상태, 주민참여 등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요소를 선정해야 한다. 구성 요소간의 중요도는 관련 전문가와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절차를 거치면 현재 유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들과 유역 주민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의 해결을 위한 대안들을 다른 유역과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개발된 지수를 이용하여 수계의 관리 상태를 진단하고, 수계를 구성하는 유역의 관리 상태가 수계의 관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산정된 지수의 공간적인 분포를 분석하여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유역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 총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수를 이용해서 유역을 진단하고 문제의 해결방안을 다른 유역과 네트워크적으로 연결하여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통한 유역관리는 수계에서 시너지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