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통합수자원 관리를 위한 Water accounting기법의 활용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통합수자원 관리를 위한 Water accounting기법의 활용
학술지명 한국수자원학회 저자 황만하,고익환,정창삼
발표일 2005-07-01

유역의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와 계획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재 상태에서의 물 이용에 관한 정량적인 평가가 선행되어야한다. 특히 국내 수자원의 주요 공급원인 저수지와 하천과 같이 수자원 변동성이 큰 경우에 대해서는 더욱 상세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유역전반에 걸쳐 얼마나 많은 유량이 사용되고, 어디서 사용되며, 혹은 어디에서 어떻게 저류 되
고 있으며, 생태 유지 등을 위해 얼마나 많은 유지 유량이 필요하며, 이에 대해 현재 어느 정도의 유량이 공급되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검증된 자료들이 정립되어져야한다. 이러한 자료가 충분히 준비되지 않고서는 향후 수자원 관리에 있어서 큰 목표가 될 통합수자원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다. 아울러 인구증가 및 산업발달 등에 따른 가용 수자원의 상대적
감소 속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정확한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기반으로 한 전략수립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며, 이에 대한 하나의 답을 줄 수 있는 것이 Water accounting이라 할 수 있다. 아직까지 Water accounting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체계적인 연구를한 사례는 없으며, 유사한 연구로는 물수지와 관련된
분석들이 있어왔다. 하지만, 물수지 관련 연구는 물 수요를 공급하기 위한 계획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실제 유역의 시공간적인 물 이용 상황을 나타내기는 어렵다. 따라서 통합수자원관리와 같은 보다 실질적인 수자원관리를 위해서는 계획차원의 물 이용 계획이 정기적으로 정밀하게 분석되는 Water accounting이실시되어져야 하며, 특히 향후 가용 수자원의 확보가 더욱 어려운 국내 수자원 환경을 고려해 볼 때 반드시 수행되어야 할 분야이다. 이는 Water accounting에 대한 물 이용과 이에 관련된 효율적인 물 관리 지표들이 구해질 경우 유역관리자는 수자원관리를 위한 보다 거시적인 시각을 얻을 수 있고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이어지는 글은 Water accounting을 국내에 도입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개념과 사용되는 각종 지표들을 설명하고, 국내외 연구현황, 국외의 분석 사례 소개, Water accounting을 기초로 한 수자원 관리의 시대적 변화 등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아래의 기술
되는 Water accounting에 관한 기술적인 내용은 IWMI(International Water Management 
Institute)의 보고서(IWMI, 1997) 내용을 기초로 하였음을 밝혀둔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