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수문정보 추출 |
---|
학술지명 한국수자원학회
저자 고덕구,김성준,채효석
발표일 2004-05-01
|
수자원에 대한 향후 평가를 위해서는 지표수와 지하수의 근원에 대한 보다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며, 원격탐사자료를 활용하여 지표수와 지하수에 대한 공간적인 매핑이 가능할 수 있다. 우주로부터 지구상에 존재하고 있는 수자원에 대한 정확한 평가는 위성 센서와 현존하는 관측망 자료의 결합에 의해서 해결할 수있는 향후의 과제이다. 실제로, 관측되지 않은 지구상의 수자원에 대한 정량적 분석은 위성 수문학(satellite hydrology) 분야에 있어서 정의가 명확하고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현재 유역의 크기가 수십 km2보다 작은 유역의 경우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하여 모든 수문 인자를 추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금까지 획득되고 있는 원격탐사자료의 공간해상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10 내지 1,000m2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사면 프로세스에 있어서 광학 위성이나 레이더 자료는 크게 활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10 내지100km2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중간 유역은 대부분의 위성 자료나 레이더 자료를 활용할 수 있으며, 100 내지 1,000km2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대유역은 다양한 해상도의 자료가 유효하기 때문에 위성 및 레이더 자료의 활용이 가장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