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대청호 유기퇴적물 분포 및 용출 특성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대청호 유기퇴적물 분포 및 용출 특성
학술지명 대한환경공학회 저자 이경식,이요상
발표일 2004-06-01

국내의 다목적댐 저수지로 유입되는 유입수는 기후 조건과 지형적인 특성으로 인해 강우 시 부유성 입자를 많이 포함한다. 강우시 유입되는 탁수는 1999년에 SS가 73.3 mg/L까지 TP는 0.09 mg/L 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강우 시 유입되는 탁수중 댐 앞에서의 탁류 입자는 강우사상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0 μm이하 입자가 약 50퍼센트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수지에 부하되는 입자성 물질은 여러 가지 경로로 유입된다. 이러한 입자성 물질은 저수지 밖으로 배출되기도 하지만 일부는 저수지 바닥에 퇴적되어 저수지 용량을 감소시키고 수질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대청 다목적댐 저수지 바닥에 퇴적된 량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점은 퇴적물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에서 피스톤 코아링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된 9개 지점 중 희남 1지점에서 최대 90cm를 나타냈고 문의 3지점에서 최소 35cm를 나타냈으며 9개 지점 평균 58.4cm로 측정되었다. 저수지 퇴적물로부터 영양염 용출율은 다른 사례와 비교하여 높지 않았으며, 가두리 양식장이 많았던 희남 지역에서 TN 용출율의 경우 1998년에 62~85 mg/   ㎡ㆍday였으며 2002년에는 23~26 mg/㎡ㆍday로 용출율이 크게 감소하였다. TP는 1998년에 13.0~14.4mg/㎡ㆍday이었던 것이 2002년에는 4.7~7.4mg/㎡ㆍday으로 감소하였다. 온도에 따른 저수지 퇴적물의 용출율 실험결과 10℃에서 TN의 용출은 일어나지 않았고 TP와 PO₄-P의 용출율은 0.003   mg/㎡ㆍday과 0.002 mg/㎡ㆍday로 나타났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