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처리시스템에서 1,4-dioxane의 제거방안 |
---|
학술지명 대한환경공학회
저자 임재림,이경혁,안효원,김순흥,채선하
발표일 2004-11-01
|
최근 낙동강 수계에서 검출된 발암성 물질로 알려진 1,4-dioxane의 정수처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오존공정과 오존과 과산화수소를 조합한 고급산화공정에 대한 100ppb 1,4-dioxane의 처리특성을 제조수와 실제 원수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1,4-dioxane제조수를 이용한 실험결과 0.1과 0.2 mg/L/min의 오존주입율 하에서 30분간 1,4-dioxane의 75와 92퍼센트가 가일차반응으로 각각 제거되었다. 원수를 이용한 경우 시간에 따른 제거율이 제조수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오존이용효율이 50에서 80퍼센트로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오존소비량이 1.5mg/L일때 50퍼센트 이상의 1,4-dioxane이 제거되었다. 0.1 mg/L/min의 오존주입율 하에서 과산화수소의 주입농도를 변화시키며 실험한 결과 처리효율이 크게 향상되었다. 제조수의 경우 H₂O₂/O₃비가 0.333일 때 가장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냈으며, 10분만에 90퍼센트 이상이 제거되었다. 그러나 원수를 이용한 경우 오존처리와는 달리 처리효율이 제조수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다. 즉,H₂O₂/O₃비가 0.333일 때 0.75와1.5 mg/L의 오존농도에서 각각 1,4-dioxane의 약 50과80퍼센트가 제거되었다. 결론적으로 낙동강 수계의 원수 특성상 적절한 양의 오존이 주입될 경우 오존처리만으로도 1,4-dioxane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고급산화공정이 도입될 경우 1,4-dioxane의 처리효율이 증가하여 처리시간과 오존주입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