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연구원 소식언론보도

언론보도

(보도자료) “이제는 우주에서 물관리 한다” 우주시대 개막 카운트, 기후테크 선점 향한 첫걸음(25.04.15) 게시글의 제목, 작성일, 조회수, 작성내용을 보여줌
(보도자료) “이제는 우주에서 물관리 한다” 우주시대 개막 카운트, 기후테크 선점 향한 첫걸음(25.04.15)
2025-04-24 조회수 47

“이제는 우주에서 물관리 한다” 우주시대 개막 카운트, 기후테크 선점 향한 첫걸음

- 해외 위성 자료 의존 탈피 및 악천후·야간 관측 한계 극복 돌파구
- 접경지역 급습 방류, 홍수 골든타임 확보 등 국민 물안보 강화
- R&D 분야 국제협력, 위성 기술 수출 모델 실현 등 기후테크 시장선도

우리나라 물관리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우주 프로젝트가 가시권에 들어왔다.

 한국수자원공사는 환경부 대행사업으로 세종시 집현동에 수자원위성 지상운영센터가 건립 중이라고 밝혔다.
이곳은 현재 개발 중인 수자원위성의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홍수·가뭄 등 수재해와 수질, 수자원 상황을 실시간 감시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예정이다.

 환경부가 주도하는 수자원위성은 2027년에 발사될 예정이다.
국가 연구과제(R&D) 예산 2,008억 원이 투입되는 이 프로젝트에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위성 본체를,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이 탑재체(레이더)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환경부 대행사업으로 위성정보를 활용한 수재해 감시 지상운용체계 및 활용체계 구축을 담당한다.

 세계기상기구(WMO) 자료 등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미국 나사(NASA) 등이 운영 중인 기후감시 위성은 있지만, 수자원에 특화된 전용 위성은 아직 없다.
그간 우리나라는 핀란드 등 해외 위성 자료를 구매하거나 무료 공개된 위성정보를 활용해 왔으나 위성마다 해상도와 관측 주기가 달라 분석에 제약이 있었다.
물재해 예방을 위해 활용한 국내 위성도 악천후나 야간 관측이 제한적이고 지류 하천 정밀 감시와 실시간 대응에 한계가 있었다.

 우리나라는 접경지역의 예고 없는 방류 등으로 물안보 문제를 안고 있고, 2022년 태풍 힌남노 내습에 따른 피해사례처럼 물재해 영향이 커 홍수 예·경보의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선제 대응 역량 강화가 절실하다.
수자원위성은 미래 물문제 대응을 위한 핵심 기술 자산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물산업 국제 정보분석기관인 글로벌워터인텔리전스(GWI) 역시 미래 10년간 기후변화 피해의 69%가 물 관련 문제일 것으로 예측한다.

 1단계로 환경부 R&D 프로젝트로 중형급 수자원 전용 위성이 개발되고, 2단계로 한국수자원공사 자체 예산을 투입하여 초소형 군집위성을 연계 운영해 한층 더 정밀한 수자원 감시체계가 구축될 계획이다.

 환경부에서 2027년 발사 예정인 중형급 위성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영상레이더를 탑재해 구름·비·어둠을 뚫고도 관측이 가능하다. 입체감 구현에도 강점이 있어 홍수·가뭄 등의 지형변화와 수질 이상 감지에 적합하다.
하루 2회 한반도 재방문 관측이 가능하며, 위성이 한 번에 관측할 수 있는 지역의 폭을 뜻하는 관측폭은 120㎞로, 촬영 시 한 번에 강원도 면적과 유사한 14,400㎢를 촬영할 수 있다.

 한국수자원공사가 자체 개발하는 초소형 위성은 총 4기가 군집체를 형성해 이틀간 3회 관측이 가능하며 댐과 수도 등 국유재산 감시, 녹조, 접경지역 시설물, 식생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한편, 한국수자원공사는 위성정보를 활용한 국제 연구개발 협력과 기술 수출을 확대하여 기후테크 산업 강국의 입지를 다질 계획이다.
17개국이 참여한 위성 기반 재난 대응 국제기구 ‘인터내셔널 차터(International Charter)’와 협력해 세계 기후재난 감시를 지원한다.
유럽연합(EU)이 주관하는 세계 최대 규모 기후 대응 연구과제(R&D) ‘호라이즌 유럽(Horizon Europe)에도 참여해 독일항공우주청(DLR) 등과 함께 기후변화 대응 기술 공동 개발을 추진한다. 

 김병기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장은 “위성을 활용한 초정밀 재해 감시 및 대응 기술은 기후위기 시대에 국제협력을 이끄는 전략기술”이라며,
“환경부와 협력하여 기후재난을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세계적 수준의 기후테크 역량을 확보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겠다”라고 밝혔다. 

목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