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홍수터 내 수목 식재 영향 분석 방안 |
---|
학술지명 응용생태공학회
저자 김영규,강보승,김동관,이원기,은가영
발표일 2025-07-11
|
본 연구에서는 댐 홍수터 내 수목 식재 전·후의 수리학적 변화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지는 수목 식재가 가능한 조건들을 고려하여 10개 댐의 52개 세부지점을 선정한 후 세가지 대표적인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이 유형이 모두 존재하는 대청댐 회인천 유역을 수리모형 검토의 대상지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대상지는 하천 만곡부 유형인 신대리 보건진료소 인근 113,875㎡ 상류 지역, 지류 유입부 유형인 용곡교 인근 86,720㎡ 중류 지역, 하천 직선부 유형인 회남치안센터 52,592㎡ 하류지역이다. 수리모형은 2차원 모델인 RAM-2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수목 식재에 따른 유속과 수위 변화 분석을 위해 수목 표현 방식은 조도계수 적용 방식을 채택하였다. 식재구간은 20년과 100년생 버드나무의 생육 특성을 반영하여 적용하였으며, 비 식재구간은 회인천 하천정비기본계획에서 제시된 조도계수를 적용하였으며, 수목의 조도계수는 Baptist 모델을 활용해 산정하였다. 수치모형의 상류경계조건은 회인천의 계획빈도(100년 빈도) 홍수량을 적용하였고, 하류 경계조건은 댐의 운영 특성을 고려하여 홍수기 제한수위(EL.76.5m)로 설정하였다. 각 지점에서 수목 식재 전후의 수리적 영향을 정량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총 7가지 시나리오(CASE)를 설정하였으며, 식재 위치, 면적, 거리, 수목 생장 등을 중심으로 배수위 및 유속 변화, 상하류 영향을 분석하였다. 식재 위치에 따른 수리적 영향성 검토 결과, 배수위 및 수위는 각 케이스 모두 상류 배수위 관측점에서의 평균수위가 0.001m 증가 및 최대 수위는 변화 없었고, 최대 유속은 CASE3에서만 0.006㎧ 감소로 배수위, 수위, 유속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