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전
[ ] 빗물저금통 사업 설치사업을 수자원공사에 관리한다면 좋을것 같아요.
변은정님
우리나라는 UN에서 지정한 물부족국가입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물 사용량은 해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데요. 이런 물부족을 대비하여 수자원공사를 비롯하여 농업공사에서도 각종 댐이나 저수지를 설치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장마철에만 강수량이 많고(그나마도 몇년째 마른장마가 이어지고 있지만) 다른 계절은 비가 많이 오지 않는 나라이기 때문에 극심한 물 부족을 겪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더구나 기후 변화로 인해 물 부족이 몇년째 더욱 심해지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빗물저금통 사업을 제안합니다. 제가 예전에 우연히 서울대 교수님이 빗물저금통이란 사업을 통해 식수를 해결하거나 한다는 얘기를 본적이 있습니다.
빗물이 산성비라서 문제가 된다고 하지만 그 산성비의 산성량이 그다지 높지 않다고 들었기 때문에 각 가정에서 빗물저금통을 통해 옛날 우리 우물처럼 의무 시설이나 혹은 빗물저금통을 설치하는 가정에 태양열을 설치하는 가정처럼 각종 세제혜택이나 그런것들을 준다면 물부족을 어느정도 막을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빗물저금통 설치사업을 수자원공사에서 관리해준다면 어떨까 합니다. 그리고 빗물이나 산성비라서 사용하기 어렵다면 그것을 모아서 수자원공사나 혹은 환경부에다가 모은 비만큼을 태양열을 해서 팔고 수질관리를 통해 가정으로 다시 보내도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런 빗물 저금통 사업이 활성화된다면 물부족 국가인 우리나라도 어느정도 물 부족 사태를 좀 막을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빗물이 산성비라서 문제가 된다고 하지만 그 산성비의 산성량이 그다지 높지 않다고 들었기 때문에 각 가정에서 빗물저금통을 통해 옛날 우리 우물처럼 의무 시설이나 혹은 빗물저금통을 설치하는 가정에 태양열을 설치하는 가정처럼 각종 세제혜택이나 그런것들을 준다면 물부족을 어느정도 막을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빗물저금통 설치사업을 수자원공사에서 관리해준다면 어떨까 합니다. 그리고 빗물이나 산성비라서 사용하기 어렵다면 그것을 모아서 수자원공사나 혹은 환경부에다가 모은 비만큼을 태양열을 해서 팔고 수질관리를 통해 가정으로 다시 보내도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런 빗물 저금통 사업이 활성화된다면 물부족 국가인 우리나라도 어느정도 물 부족 사태를 좀 막을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018-06-23
태그 :
제안기간 : 2018-06-23 ~ 2018-07-03
의견 2건 :
관리자
안녕하세요 단비톡톡 관리자입니다. 빗물 재활용과 관련된 좋은 제안 주셨습니다. 등록하신 제안은 공감과 댓글 등 공론과정을 거치게 되는데요. 이를 통해 보다 심층적으로 논의될 제안으로 선정되면, 제안발전소에서 투표, 토론 등을 통해 국민제안으로 완성이 됩니다. K-water는 국민의 목소리가 제안으로 완성되고, 물 관리 사업과 서비스에 반영되도록 노력하고 진행상황을 안내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2018-07-02 18:33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백현숙
많은 공감대가 형성된다면 충분히 실행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018-06-24 02:05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