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원아래 지하 저수지 설치로 효율적인 물 관리 및 홍수, 가뭄 예방

황유하님

우리 주변에서 공원은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공원에는 높은 건물이나 지하를 이용하는 공사는 잘 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공원 지하에 저수지를 설치한다면 평소에는 사용하지 않아서 낭비되고 있던 공원 지하공간이 효과적인 물 저장시설로 탈바꿈되어지고 가뭄과 홍수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고 공원 식물들에게 주는 물을 외부에서 끌어오지 않고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서 좋을 것 같습니다.

2020-03-16

태그 :

제안기간 : 2020-03-16 ~ 2020-06-14

의견 3건 :

  • 닉네임

    전해주신 소중한 의견 감사드리오며, 주신 의견은 정부정책, 업무추진 영역, 관련법 등 제반사항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중장기적으로 검토·반영토록 하겠습니다.
    다시 한 번 소중한 의견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2020-05-12 19:56

    댓글 :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 유선호

    공원 저수지를 설치하게 된다면 홍수나 가뭄이 들었을 때 예방하기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지하공간을 물 저장 시설로 만들게 된다면 추후에 비가 많이 내릴 때도 물 저장 공간에 들어가서 추후에 농업용수로 사용하기 좋을 것으로도 보입니다. 허나 제 생각으로는 예산 문제가 많이 들것 같은 아쉬움이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

    2020-03-18 18:40

    댓글 :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 김정수

    지하저수조는 실제로 가뭄과 홍수에 효과적으로 대비 할 수 있는 방법중 하니입니다. 또한 녹조현상등으로 인해 치수가 어려울때에도 지하저수조에 저장되어져 있는 물들은 녹조현상으로 자유롭기 때문에 차질 없이 물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말씀하신 공원 지하공간에 지하저수조를 설치하는 방안은 현실적인 제약이 많아보입니다. 우선 지하저수조를 건설할 때에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꽤나 큽니다. 장기적으로 붕괴의 위험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한 님비(NIMBY)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특히나 공원은 많은 사람들이 찾을 수 있는 거주 인구가 많은 지역에 설치가 되는 공공시설이기 ?문에 이러한 반발이 더 클 것으로 예상 됩니다. 또한 공사를 하면서 공원의 생태와 미관을 해칠 우려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대규모 지하 저수조를 건설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지하저수조 설치시에는 공원의 식물들에게 가뭄시에 물을 주기 위한 소규모 지하저수조를 설치해야 할텐데 이미 상수도로 공급되고 있는 물과 지하저수조 설치중에 어느 부분이 더 경제적으로 이득이 되는지 한번 따져봐야 할 것입니다. 가뭄, 홍수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하저수조가 강 유역이나 댐, 정수처리시설 근처에 세워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지하저수조에 저장되는 물은 녹조현상으로부터 자유로울 뿐더러 햇빛으로 인해 증발로 손실되는 물도 없기 때문에 더 효과적인 물의 운용이 가능해집니다.

    2020-03-18 12:04

    댓글 :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