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자원환경보존 위원회 구성

안영수님

전국적으로 산재한 수자원시설은 산림자원과 농어촌지역,자연환경 및 지방정부가 공동으로 연계된 특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수성을 감안 관련 공적기관이 종합적으로 참여하는 위원회를 구성하여
수자원보호는 물론 잔연 및 산림환경을 보호하고 지역사회의 실행활에 편익을
도모하는 통합적인 업무분장과 공동사업화 추진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특히 전국민과 지역민을 대상으로 관련시설과 환경보호 및 개선을 위한 소통 시스템을 공동으로 구축함으로서 참여국민들의 경험과 지혜를 효율적으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아울러 중앙정부에서 국책사업으로 추진하는 수자원 및 환경보존 콘텐츠의 공동참여는 물론 한국판 그린 뉴딜정책 역시 공동사업화 추진이 가능합니다.
공적기관의 특수성 및 관행적 행사로서 위인설관식 운영이 아닌 실질적이고
실천적인 위원회를 구성함으로서 관련기관과의 협업 및 상생 정책에 선제적 대응전략 추진이 가능합니다.
필요시 공동사업 기관과의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한 해외정보 및 네트웍을 공유함으로서 취약한 국제경쟁력 확보 역시 가능합니다.
청소년 참여 콘텐츠, 수자원 및 환경관련 생활문화 콘텐츠, 관련분문 산업화 콘텐츠 등 전국민의 참여를 위한 공동사업화를 적극 추천합니다.

2020-07-10

태그 :

제안기간 : 2020-07-10 ~ 2020-10-08

의견 2건 :

  • 관리자

    전해주신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주신 의견과 관련하여 현재 국가 및 유역 물관리위원회를 주축으로 수자원을 포함한 여러 사항에 대해 결정, 기관 간 협력/추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K-water는 국민들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물관리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0-08-26 17:15

    댓글 :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 김진진

    여러가지 위원회가 있을 것이므로 유사한 성격의 위원회와 연계하거나 통합하여 운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0-07-15 17:07

    댓글 :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