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봄철 가뭄해결을 위한 빗물 탱크 공급

최유박님

매년 봄철만 되면, 논과 밭은 가뭄으로 인해 피해를 입습니다.
이와 같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평소에 빗물을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농업용수로 활용하는 방안을 실행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농가들에 빗물저장용 탱크를 지원하여 가뭄피해 예방을 위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면 농민들의 피해가 줄어들 것입니다.

2020-03-09

태그 :

제안기간 : 2020-03-09 ~ 2020-06-07

의견 6건 :

  • 닉네임

    전해주신 소중한 의견 감사드리오며, 주신 의견은 정부정책, 업무추진 영역, 관련법 등 제반사항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중장기적으로 검토·반영토록 하겠습니다.
    다시 한 번 소중한 의견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eGovFrame Potal 온라인 지원 포탈




    에러로고이미지


    경고이미지 데이터 처리 중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바로가기 버튼이미지

    2020-05-12 19:55

    댓글 :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 박종원

    해당 제안 잘 읽었습니다.
    현재 제안에 대한 한계점은 첫째, 해당 농번기를 잘 표현하지 못했습니다. 즉 해당 숫자, 통계, 사례, 본인의 경험에 대해서 표현이 필요합니다. 또한 피해는 얼마만큼 입고 해당 피해의 금액환산, 혹은 추정치 등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해당 빗물 탱크에 대한 해외사례나 국내사례 혹은 해당 비용으로 운송비, 원재료, 가공비 등이 있으면 더 구체적입니다. 일반적으로 댐의 역할 일부를 봄철 가뭄에 그 역할을 할 빗물 탱크 공급입니다. 그럼 해당 빗물 탱크에 대한 논과 밭 등에 대한 기본 면적에 대한 디자인이 필요합니다. (국제기준, 국내기준에 따라서)

    현제 제안에 대한 발전해야할 점은 공공기관 연구소들에 대한 보고서를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어느 작물이 가장 필요한지, 국익까지 연결되는지 등이 숫자로도 표현(객관적 증명)이 되어야합니다. 추가적으로 현재는 어떻게 농민들이 대처하는지, 국가가 어떻게 보장 혹은 보호하는지 법제도에 대해서도 알아봐야합니다.

    eGovFrame Potal 온라인 지원 포탈




    에러로고이미지


    경고이미지 데이터 처리 중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바로가기 버튼이미지

    2020-04-08 23:48

    댓글 :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 김진진

    별도의 빗물 저장탱크를 설치하여 물을 받아서 보관하는 것은 어렵다고 봅니다...가장 자연친화적인 방법인 작은 저수지 형태인 '둠벙'을 잘 활용하면 좋겠습니다...수원도 확보하고 주변 생태환경도 지킬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0-03-19 20:45

    댓글 :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 유선호

    요즘 시기에 기후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사항이기에 이 글에 대해서 공감이 되고 됩니다. 빗물을 모으다 보면 농업용수 및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지붕이 있는 집 같은 경우에는 지붕에 내리는 빗물을 저장하는 작게 만들어서 빗물 저장 후 필요할 때 저장된 물들을 사용하더라고요 빗물 저장용 탱크가 있으면 농민들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20-03-18 18:45

    댓글 :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 황유하

    빗물저장탱크를 이용하여 가뭄 피해를 방지하려고 하는 노력은 지금도 계속되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물탱크는 관리도 어렵고 강수량이 적으면 효과도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어서 가뭄 피해 해소에 도움은 되지만 해결책으로써는 부족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2020-03-16 13:28

    댓글 :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 김정수

    3월 10일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의 발표에 따르면 금년도 누적강수량(20.1.1~20.03.02)은 평년의 212.8% 정도로 크게 증가하였고 3.2일 기준으로 전국 저수율은 평년 대비, 저수지(124%), 다목적 댐(145%), 용수댐 (169%) 정도로 평년에는 본격적인 모내기 철까지는 용수 부족으로 인한 가뭄은 없을 것으로 예상을 했습니다. 다만, 행안부에서는 국지적, 계절적 편차로 인해 물부족이 발생이 우려되는 지역에 있어서는 사전에 용수 확보를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고 합니다. 행안부에서는 한국수자원공사가 물관리정부유통시스템(WINS)를 토대로 취합한 정보를 통해 가뭄 예,경보를 발령하기 때문에 올해 모내기 철까지는 걱정하시지 않아도 될것 같습니다.하지만 강원도와 같은 일부 지역은 여전히 안정적인 용수 공급에 차질을 빚고 있는데 특히 강원도는 농작지 면적의 65%가 밭 경작지인데 이중의 80%가 관개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아 원할한 용수 공급이 어렵다고 합니다. 올해의 상황이 좋다 해도 앞으로 시간이 지나면 어떻게 될지 모르는 것이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탱크도 이러한 방안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보는데요. 실제로 일부 지역에서는 가뭄에 대비해 지상형 물탱크를 설치하고 사용해오고 있지만 지상형 물탱크의 경우 빗물을 모으는 것에 있어서 효율이 낮습니다. 그래서 물탱크 설치시에 각 논답의 가장 낮은 곳에 밭의 해갈에 필요한 강수량을 면적에 맞게 계산한뒤에 지하물탱크를 설치하여 배수로를 통해 물이 흘러들어갈 수 있게 한다면 물탱크에 훨씬 더 효율적으로 물을 모을 수 있을것입니다. 국내에 설치되어져 있는 저수지나 정수처리 시설에도 지하저수조를 설치하여 녹조현상등 수질 악화로 인해 식수 및 농업용수로 물을 이용할 수 없을때에도 원할한 물공급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설치시 해당 지역의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설치해야 할 것입니다.

    2020-03-12 19:24

    댓글 : 1개
    • tory20 님

      지상형 물탱크 저효율문제에 대해 잘 읽었습니다. 지하저수조의 경우 모인 빗물 오염가능성이 있어 식수 사용보다 제안해주신 농업용수로 사용이 적합할 것 같습니다.

      2020-03-15 00:5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