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물 부족 국가'라는 인식 바로잡기

김유진님

제안 배경 :
우리나라는 ‘물 부족 국가’라는 인식이 만연해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고, 이러한 인식을 바꾸는 캠페인을 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에 제안하게 되었습니다.

제안 내용 :
우리나라가 물 부족 국가가 아니라는 내용과, 왜 그러한 인식이 퍼졌는지에 대한 내용을 쓰고, 마지막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은 절약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카드뉴스를 제작하여 SNS에 게시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기대 효과 :
인식의 오류를 바로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물 부족 국가로 격하되지 않아야겠다는 생각을 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2020-05-01

태그 :

제안기간 : 2020-05-01 ~ 2020-07-30

의견 4건 :

  • 관리자

    물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들은 물정보포털 Mywate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리오며,
    향후 단비톡톡에도 관련메뉴를 개설하여 국민 여러분이 물과 관련된 지식을 쉽게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캠페인 등 여러 홍보활동을 전개하여 대국민 인식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0-08-26 15:43

    댓글 :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 박종원

    제안 잘 읽었습니다. 관련 의견은 여러 포스팅으로 본 부분이나 해당 키워드에 대한 고정관념이 매우 심각한 수준에 동감합니다.
    우선 제안부분의 한계점은 SNS의 포스팅으로 이미 카드뉴스로 작성된 부분인데 '물 스트레스 국가'의 내용이 우선 가장 중요합니다. '대체어'가 필요한데 그것을 잘 설명안하고 'A가 아니다.'라는 구조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해당 제안에서 발전해야할 부분은 해당 내용을 SNS에서만 단순하게 전달하기 보다, 공모전, 대회, UCC제작 등에서 보급효과가 큰 온라인 채널까지 확산의 범위까지 고려한 예산/인력 등을 견적서 처럼 보여주어야 예산 쓰임의 타당성을 바탕으로 일이 진행될 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저 또한 학부생시절에 아시아태평양대학생물의회를 참가 및 수료/ SBS물환경대상 100인의 지킴이에 선정되어 있는 경험으로 말씀드리면 생각보다 자연과학/공대생 마인드에 추가적인 경영학적인 측면으로 제안서를 작성해야합니다. 어려운 모델(기법), 통계적분석보다 기본 문헌자료 조사와 현장조사(인터뷰, 설문조사)등의 노력을 바탕으로 '올바른 경각심'이 생길 수 있게 제안이 되길 희망합니다.

    2020-05-26 16:49

    댓글 :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 유선호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우리나라가 물 부족 국가가 아니라는 내용과, 왜 그러한 인식이 퍼졌는지에 대한 내용 물 절약 한다는 내용이 담긴 카드뉴스를 제작하여 SNS에 게시를 한다면 일반인들도 물 부족 국가 및 물 절약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020-05-17 21:55

    댓글 :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 닉네임

    "이 댓글은 비공개되었습니다."

    2020-05-12 20:56

    댓글 :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 황유하

    국제 인구행동연구소(PAI, Population Action International)는 연간 물 사용 가능량이 1,000㎥일 경우 '물 기근 국가'로, 1,000~1,700㎥일 경우 '물 부족 국가'로, 1,700㎥ 이상이면 '물 풍요 국가'로 분류하였습니다. 대한민국은 약 1,453㎥로 측정됨에 따라 '물 부족 국가'라는 불명예스러운 타이틀을 얻게 되었습니다. 라고 알고 있는데 물 부족 국가가 아니라고 적혀져있는 출처도 알려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2020-05-03 17:21

    댓글 :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