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자원 시설 테마별 지역민 참여 확대

안영수님

전국적으로 대규모의 수자원관리 시설은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수자원시설의 특성상 접근성이 어렵고 지역적 환경과 상황을 인지하는 것 역시 중요합니다.
아울러 전국단위 수자원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 역시 인력에 한계가 많아 정형적이고 단편적인 업무수행에 의존하는 경향 역시 지배적입니다.
이로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정책으로 지역만 참여 정책이 중요합니다.
전국적인 수자원시설의 특성과 환경을 고려하여 전문가 참여 취약부문을 메뉴얼화 시킴으로서 취약부문에 대한 지역민 참여정책을 확대함이 비람직 하다고 생각합니다.
수자원시설의 취약부문에 대한 콘텐츠를 장르별로 테마콘텐츠로 분류하여 접근성과 지리적 특성을 감안한 지역민들 참여 확대를 통하여
지역사회 공헌 및 일자리 창출 역시 병행정책 수생이 가능합니다.
필요시 지역민 대상 지역별로 취약한 테마콘텐츠 중심 직무교육을 상설화 시킴으로서 지역민들의 참여역량을 향상시키는 교육정책 역시
병행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수자원시설의 현황을 활용하는 정책이나 관광자원으로 미관상 보여지는 정책에서 벗어나 지역민 참여 ?대를 통한 자연환경의 변화와 천재지변으로
발생가능한 위기요인의 개선정책을 위한 선제적 대응 역량강화와 지역적 강점을 활용 지역경제 및 관광산업에 기여가 가능한 콘텐츠 개발의
적극행정을 기대해 봅니다.

2020-06-18

태그 :

제안기간 : 2020-06-18 ~ 2020-09-16

의견 2건 :

  • 관리자

    전해주신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K-water가 관리하고 있는 시설은 국가 보안시설들로, 일반 국민들의 출입 등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K-water는 취약부분 발굴, 개선을 위해 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외부 전문가 자문, 협의 등을 거쳐 시설물을 관리하고 있으며,
    댐 주변지역 주민들에는 교육, 복지시설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주신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2020-08-26 16:50

    댓글 :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 김진진

    지역민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공동체 내에서 활발한 참여가 일어나게 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좋다고 생각합니다...^^

    2020-07-15 16:24

    댓글 :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한마디 의견을 남겨주세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