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R&D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형광 지표-끝성분 혼합분석법 기반 경인 아라뱃길 퇴적물 유기물 기원 추적 연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형광 지표-끝성분 혼합분석법 기반 경인 아라뱃길 퇴적물 유기물 기원 추적 연구
학술지명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2025 공동포럼 저자 김동성,오해성,이채은,허진,임광규,정재중,유민영,정헌재
발표일 2025-10-30

경인 아라뱃길은 굴포천 유역의 홍수 피해 저감, 수도권 물류 수송 체계 개선, 국민 여가 공간 제공을 목적으로 2012년 개통되었다. 평상시에는 굴포천이 한강으로 유입되지만, 홍수 시에는 귤현보를 통해 대부분의 유량이 아라뱃길로 흘러 서해로 배출된다. 이러한 수리·수문학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유역 기원의 유기물이 아라뱃길로 유입·축적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퇴적물에 포함된 유기물은 수질 악화와 내부 부하를 통한 수생태계 교란을 유발할 수 있어, 그 기원과 특성을 규명하는 것은 환경 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인 아라뱃길 퇴적물 내 유기물의 형광 특성을 평가하고, 다양한 잠재적 기원 시료와의 비교를 통해 주요 기원을 판별한 뒤 끝성분 혼합분석법 (end-member mixing analysis)을 토대로 각 기원의 기여도를 정량화하였다. 이를 위해 아라천 4개 지점에서 퇴적물 코어를 채취하여 깊이별로 용존유기물을 추출하고 형광분석을 수행하였다. 동시에 토양, 수변식생, 조류, 가축분뇨, 퇴비, 비료, 하수처리장 방류수 등 아라천으로 유입 가능한 잠재적 기원 시료를 채취하였다. 기원 시료는 원시료와 함께 증류수와 혼합하여 60일간 풍화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자연적 변질 과정을 추가적으로 반영하였다. 이후 풍화 전후의 잠재적 기원 시료를 end-member로 설정하여, 표층 퇴적물과 심층 퇴적물에서 각각 유기물 기여도를 산정하고 그 상대적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형광 지표를 활용한 판별 지시자는 주요 기원을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end-member 혼합분석을 통해 표층과 심층 퇴적물 간 기여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아라뱃길 퇴적물 내 유기물을 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