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R&D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아라천 수질관리를 위한 굴포천 용존유기물 성상변화 조사 및 가동보 운영 방안 제고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아라천 수질관리를 위한 굴포천 용존유기물 성상변화 조사 및 가동보 운영 방안 제고
학술지명 2025년 대한환경공학회 국내학술대회 저자 임광규,정재중,유민영,김채린,정헌재
발표일 2025-11-20

굴포천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일신동 철마산에서 발원하여 경기도 김포시 신곡리 행주대교의 한강본류 좌안으로 유입된다. 평시에는 한강 본류로 유입되고, 홍수시에는 아라천 및 연결수로를 통해 서해로 방류된다. 굴포천의 상류구간은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시가지를 통해 경기도 부천시의 상·중동신도시 구간을 통과하는 전형적인 도심하천이며, 굴포천의 도시화(3기 신도시 개발 등)로 토양의 저수 능력 및 식생에 의한 녹샘댐 효과가 적어 강우 유출량의 점진적 증가가 예상된다. 굴포천은 굴포하수처리장의 하천유지용수 공급시설로부터 하루 약 9만톤을 공급받아 일정 유량을 유지하고 있으며 관련법령에 따라 일정 수질기준 이하로 공급되고 있지만 하천생활환경기준 대비 오염도가 높은 실정이다. 또한 합류식 관거가 대부분인 주변 지역 특성상 강우로 인한 공공하수처리시설 시간계획오수량 이상 유입 발생시 미치리 하수의 수계 유입이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굴포천 유역의 용존유기물 거동파악을 통해 아라천의 최적 수질관리를 위한 가동보 운영 방안을 제고하고자 한다.
굴포천의 수질조사는 강우시 아라천으로의 유입이 발생하는 가동보 설치지점 상류 부근에서 2024년 7월 중 발생한 강우 이벤트 2회를 1시간 간격으로 24시간 조사하였으며, 하수 유입수 및 방류수는 고유의 유기물 성상 조사를 위해 2월부터 5월중 비강우시의 시료를 샘플링하여 조사하였다. 굴포천 이 유입되는 굴포천-아라천 합류부 구간의 퇴적물은 다이버를 활용한 핸드코어 방식으로 시료를 채취, 공극수는 Rhizon sampler로 추출하였으며, 형광(Fluorescence)분석은 EX 200-500nm(5nm), EM 280-550nm(1nm)로 측정하여 PARAFAC(Parallel factor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