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전략
물인프라 안전관리, 물에너지 기술 혁신으로 국가 물산업 육성 및 신재생에너지 기술 리딩
TabBar Menu
탄소중립 물관리
-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전환 연구 (그린수소, 수열, 태양광, 수력 등)
- 신재생에너지 기반 수소 생산·저장 기술 연구
- 카트리지형 PEM기반 고성능 수소 생산 시스템 개발 연구, 수소저장 합금을 이용한 수소 저장능력 증대 연구
- 지속가능한 청정 수열에너지시스템 개발
- 댐 심층수 활용 수열에너지 연구, 수열원 활용 열원 믹스 기술개발, 수열시스템 적용 건물 냉난방 최적제어 연구, 분산에너지 기반 고효율 집단 냉난방 시스템의 수열 적용 기술개발
- 수력 핵심부품 국산화 및 기후변화 대응 효율향상 연구
- 100MW 수차 국산화 및 극한환경 장수명화 연구, CFD 활용 연구
- 수상태양광 사업확대를 위한 발전량 향상 및 원가절감, 실증연구를 통한 국가기술기준 제정 기술개발
- 양면형 모듈 적용 수상태양광 구조물 최적화 기술개발을 통한 발전량 증대연구
- 세계 최고수준 수상태양광 LCOE(균등화 발전단가) 달성을 위한 수상변전소 실증연구
< 구조물 최적화 기술개발 및 부유식 변전소 실증연구 >
- 탄소중립(Net-Zero) 정수장 구축 기술
- WEMS*용 인공지능형 복합센서 개발, 실증을 통한 에너지 최적 관리
* (WEMS) Water Treatment Energy Management System
- 4차 산업기술 기반 AI 복합센서 및 사전 검증시스템 개발, WEMS 연계 실증 시스템 개발, 에너지 절감 산정 기준 수립
- 정수장 탄소중립 성과관리 및 평가 기술 개발
- 공정별 에너지 최적화를 통한 정수장 탐소감축 기술 고도화
- 정수장 설비 에너지 효율 향상, 에너지관리 시스템 고도화
- 정수장 소수력을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 연구
- 성남정수장 소수력을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시스템 내구성 향상 연구, 발생 부생수소 활용을 위한 수소 정제 기술 고도화
< 에너지 최적관리스템 >
< 정수장(성남) 기반 그린수소 생산 설비 실증 >
디지털 전환
- 디지털 물인프라 안전관리 기술
- 로봇, AI 기반 인프라 점검 진단 프로세스 수립
- 유역/하천 디지털 매핑(3D 하천, 퇴사량 조사)
- 실시간 계측 데이터 AI 지능화 분석, 수중 ROV(수중드론) 고도화 등
- 디지털트윈 기반 통합 유역 물안전 기술 실증
- 스마트 댐 안전관리 뉴딜 사업 핵심 지원
- 드론 현실모델링, 디지털트윈 및 AR/MR 기반 유역 물안전 플랫폼 개발
- 노후시설 장수명화 및 보수보강 기술개발
- 댐 노후도, 자산관리 및 장수명화 전략 제시, 댐 인프라 보수보강 신기술 개발
- 물인프라 지능형 재난/건설/공공 안전 기술개발
- 시설물 지진 안정성 평가 고도화, 지능형 댐 주변 공공안전 플랫폼 개발
< 디지털트윈 활용 업무체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