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로 보는 물관리

  • 01.jpg
  • 02.jpg
  • 03.jpg
  • 04.jpg
  • 05.jpg
  • 06.jpg
  • 07.jpg
  • 08.jpg
IWRM 통합물관리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新 물 관리 패러다임

댐에서 보, 하천까지 흩어진 물줄기를 하나로!
IWRM은 50여 년의 물 관리 경험과 첨단 정보 통신 기술(ICT)을 접목한 스마트한 물 관리 기술로 유역 및 하천으로 유입되는 물을 효율적으로 이용·관리하는 물 순환 전 과정에 대한 통합물관리입니다.

기후이상 현상으로 극심한 가뭄과 국지성 폭우 등 자연재해 발생
기후변화로 더욱 빈번해진 물 재해(가뭄, 홍수), 지역간 물 분쟁 해결 → 공평한 물 환경 제공

효율성을 저해하는 물 관리 환경
수력발전댐(한국수력원자력), 다목적댐(K-water), 용수댐(K-water, 지자체), 국가하천(국가), 지방하천(지자체), 농업용댐(한국농어촌공사, 지자체), 소하천(국민안전처), 다기능보(K-water)
-다원화된 관리 체계로 중복·과잉 개발(2005년 감사원) 광역·지방 상수도 964만㎥/일
-대구 경북 및 경남 부산의 맑은 물 공급 갈등·지연
-광양만·사천만·강진만·순천만 하류 민원 증가

소외 지역 물 재해 집중(물 복지 불균형)
-도서·산간 지역 상습 가뭄 재해 반복(50% 수시 경험)
-중·소 지류 하천 홍수 재해 집중(피해액의 99%)
-저수지 유지 유량 미보장으로 하류 건천화(국토의 22%)

미래 물 환경 불확실성 증대
연평균 자연재해 피해액(단위 : 억 원) : 1980년대(3.195), 1990년대(5.484), 2000년대(17.044)
댐 설계 홍수량 초과 횟수 : 1980년대(1회), 1990년대(4회), 2000년대(15회)
-기후변화로 가뭄·홍수 피해 급증(1980년대 대비 5.3배)
-댐(30년 이상 62%) 및 저수지(45년 이상 87%) 노후화
-녹조 발생 및 비점오염원 확대(1998년 27% → 2010년 68%)

추진방향
유역 전체 물 순환 전 과정을 유기적으로 통합 관리함으로써 물 관리의 효율성·공평성·지속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전 세계 물 관리 패러다임
물 정보 조사 관리 분석, 물 관리 예측과 의사 결정, 수자원 시설 유지와 안전 관리, 유역 하천수질통합관리
-효율성 : 물 이용 효율 극대화, 물 관리 원칙 정립
-공평성 : 소외 지역 물 문제 해소, 생태계 배려
-지속 가능성 : 기후변화 대응, 시설 안전, 미래 대응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첫걸음, 물관리
유역 간 물을 적절히 배분하는 사업으로 물 배분 재조정은 한정된 수자원의 이용 효율성을 높이고 물 부족으로 소외받는 지역의 물 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국가 사업입니다.
2016-12-13
1